카테고리 없음

청년을 위한 필수 지원금 총정리 (0만원 벌기)

wlahs5 2025. 3. 18. 15:00

2024년 청년 지원금 총정리

 

1. 청년 복지 지원금

(1) 청년복지포인트 (경기도)

  • 지원 대상: 경기도 거주 만 18~34세 청년 중 근로 중인 자
  • 지원 내용: 연 120만 원 상당의 복지포인트 지급 (분기별 지급)
  • 사용처: 건강관리, 자기개발, 문화생활 등 (복지몰 내 사용 가능)
  • 신청 방법: 경기도일자리재단(youth.jobaba.net)에서 온라인 신청

(2) 청년월세지원 (국가 및 지자체별 운영)

  • 지원 대상: 만 19~34세 무주택 청년 (중위소득 60% 이하)
  • 지원 내용: 월 최대 20만 원씩 12개월 지급 (총 240만 원)
  • 신청 방법: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또는 지자체별 청년월세지원 신청 사이트

(3) 청년 교통비 지원

  • 지원 대상: 수도권, 일부 지방자치단체 거주 청년
  • 지원 내용: 연 최대 30만 원 교통비 지원 (티머니, 알뜰교통카드 연계)
  • 신청 방법: 지자체 청년 지원 사업 공고 확인 후 신청

2. 청년 일자리 및 자산 형성 지원

(4) 청년내일채움공제

  • 지원 대상: 중소기업 취업 청년 (만 15~34세)
  • 지원 내용: 2년간 300만 원 저축 시 정부 및 기업 지원으로 최대 1,200만 원 수령 가능
  • 신청 방법: 청년내일채움공제 사이트(work.go.kr/youngtomorrow)

(5) 청년 도약계좌

  • 지원 대상: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 만 19~34세 청년
  • 지원 내용: 매월 70만 원 저축 시 정부 지원금 추가 지급 (최대 5년, 5,000만 원 형성)
  • 신청 방법: 시중은행 앱 및 금융위원회 공고 확인 후 신청

(6) 청년 노동자 통장 (경기도)

  • 지원 대상: 경기도 거주 저소득 청년 근로자
  • 지원 내용: 매월 10만 원 저축 시 24개월 후 580만 원 수령 가능 (경기도 지원금 포함)
  • 신청 방법: 경기도일자리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

(7) 청년도약계좌 (전국 시행)

  • 지원 대상: 만 19~34세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 청년
  • 지원 내용: 월 70만 원 저축 시 정부지원금 포함, 5년 후 최대 5,000만 원 마련 가능
  • 신청 방법: 금융기관 및 정부 공식 사이트에서 신청

3. 창업 및 주거 지원

(8) 청년창업지원금

  • 지원 대상: 만 19~39세 창업 준비 청년
  • 지원 내용: 최대 1억 원 창업 지원금 및 멘토링 제공
  • 신청 방법: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(k-startup.go.kr)

(9) 청년전세자금대출

  • 지원 대상: 무주택 청년 (연소득 5,000만 원 이하)
  • 지원 내용: 최대 1억 원 전세자금 대출 (금리 1~2%대)
  • 신청 방법: 은행 및 주택도시기금(jtfc.or.kr)

4. 기타 생활지원금

(10) 청년 재직자 내일채움공제

  • 지원 대상: 중소기업 재직 청년
  • 지원 내용: 5년간 근속 시 3,000만 원 이상 자산 형성 가능
  • 신청 방법: 중소기업벤처부 및 중소기업진흥공단

(11) 청년지원금 (각 지자체별 운영)

  • 지원 내용: 지역별 특성에 맞춘 취업 지원금, 생활비 지원금 등 지급
  • 신청 방법: 거주 지역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신청

📌 마무리

청년 지원금은 매년 정책과 예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정부 및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한, 중복 신청이 가능한 경우와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니, 각 지원 사업의 세부 요건을 꼼꼼히 살펴보고 본인에게 가장 유리한 혜택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